65세 이상 장애인 40%는 홀로 거주…'사회적 고립도' 1.7배

본문 바로가기
뉴스와 소식
> 열린마당 > 뉴스와 소식
뉴스와 소식

65세 이상 장애인 40%는 홀로 거주…'사회적 고립도' 1.7배

최고관리자 0 5

장애인개발원 분석…"고령·장애 이중 약자에 세심한 정책 접근 필요"

이미지 확대휠체어 탄 노인
휠체어 탄 노인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65세 이상 장애인 10명 중 4명은 혼자 사는 것으로 집계됐다. 고령 장애인들의 '사회적 고립도'는 같은 연령대 비장애인의 1.7배 수준이었다.

9일 한국장애인개발원은 보건복지부의 '2023년 노인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등을 활용해 65세 이상 장애인의 특성과 복지 욕구, 사회관계, 경제활동 등을 분석했다.

개발원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등록장애인은 145만5천782명으로, 65세 이상 전체 인구의 14.6%를 차지한다.

유형별로는 지체장애(46.6%)가 가장 많았고, 청각장애(25.3%), 시각장애(9.7%), 뇌병변장애(9.5%), 신장장애(3.5%) 순으로 뒤따랐다.

65세 이상 장애인 중 취업자 비율은 22.7%로, 비장애인(39.7%) 취업자 비율에 한참 못 미쳤다. 고령 장애인 중 31.7%가 근로를 희망했다.

65세 이상 장애인의 월평균 가구 소득은 약 211만원으로, 같은 연령대 비장애인(약 292만원)의 72%에 그쳤다. 보건의료·간병돌봄비 지출은 65세 이상 장애인이 월평균 14만7천원, 비장애인이 9만6천원이었다.

고령 장애인의 77.3%는 일상생활에서 타인의 도움을 받고 있었는데, 제때 도움받을 수 없는 처지에 놓인 이들도 많았다.

이미지 확대[한국장애인개발원 제공]

[한국장애인개발원 제공]

고령 장애인 중 39.4%는 1인 가구로, 65세 이상 비장애인 중 1인 가구의 비율(32.5%)보다 높다.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나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할 경우' 중 하나라도 도움받을 사람이 없는 사람의 비율을 뜻하는 '사회적 고립도' 역시 65세 이상 장애인이 26.3%로, 비장애인(15.5%)보다 약 1.7배 높다.

고령 장애인이 지난 1년간 TV, 유튜브 시청이나 라디오 청취를 제외한 여가 활동에 참여한 비율은 72.8%였다. 비장애인의 경우 81.6%다.

65세 이상 장애인의 47.3%만 스마트폰을, 7.7%만 컴퓨터를 사용하는 등 스마트기기 활용 비율도 비장애인(스마트폰 69.0%·컴퓨터 13.3%)보다 낮았다.

이경혜 장애인개발원 원장은 "65세 이상 장애인은 고령과 장애라는 이중의 특성을 함께 지니고 있어 세심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며 "통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 장애인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책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출처:연합뉴스(https://www.yna.co.kr/view/AKR20250709078900530)

0 Comments
제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