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인들 “점자는 자립의 필수” 의악품·음식점에선 사용 어려워

본문 바로가기
뉴스와 소식
> 열린마당 > 뉴스와 소식
뉴스와 소식

시각장애인들 “점자는 자립의 필수” 의악품·음식점에선 사용 어려워

최고관리자 0 5

국립국어원, ‘2024년 점자 사용 양상 실태 조사’ 결과 발표

점자를 읽는 모습.ⓒ에이블뉴스DB
점자를 읽는 모습.ⓒ에이블뉴스DB

【에이블뉴스 이슬기 기자】시각장애인 10명 중 9명 이상이 점자를 자립에 필수적인 도구로 인식하고 있지만, 의악품, 음식점 접근 등의 점자 사용 환경 만족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국어원이 16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점자 사용 양상 실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전국의 만 20세 이상 69세 이하 점자 사용 시각장애인 508명을 대상으로, 점자 사용 목적, 점자 학습 능력, 점자 도서 및 점자 보조기기의 활용, 점자 사용 환경에 관한 설문을 진행했다.

먼저 시각장애인의 자립에 점자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고 답한 경우가 69.3%, 중요하다고 답한 경우가 23.6%로 나타나 시각장애인의 92.9%가 점자를 자립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자 사용 목적과 관련한 복수 응답에서는 일상생활 및 가정용품(식료품, 욕실용품, 고지서 등)에서 점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65%, 학업과 교육에서 53.7%, 대중교통 이용에서 51%, 직장 업무, 여가 및 문화생활을 위해서가 각각 50.8%로 나타나 다양한 일상생활에서 점자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글 점자 사용 능력과 관련해서는 점자 사용 능력이 높다고 답한 경우가 41.4%, 보통이라고 답한 경우가 30.5%로, 71.8%가 한글 점자 사용 능력이 보통 이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개정 한글 점자 규정’에 대한 이해도와 관련해서는 높다고 답한 경우가 30.5%, 보통으로 답한 경우가 33.9%로, 64.4%가 보통 이상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다만 한글 점자 능력에 비해 개정 한글 점자 규정에 대한 이해도는 다소 낮아서 개정 점자 규정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더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점자 읽기, 쓰기를 위해 주로 사용하는 보조 도구에 대한 복수 응답 결과 점자정보단말기를 사용한다고 답한 경우가 57.5%, 점자판을 사용한다가 57.3%, 스마트폰이 55.9%, 컴퓨터가 43.9%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여전히 많은 시각장애인이 점자판을 활용한 일반 종이 점자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점자 도구와 함께 전통적인 점자 도서 역시 지속적으로 보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가정용품, 대중교통 시설, 지역사회 기관, 생활 편의시설, 개인 생활과 관련한 점자 사용 환경의 필요성과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알아본 결과 모든 환경에서 점자 필요성은 높게 나타난 데 비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국립국어원
가정용품, 대중교통 시설, 지역사회 기관, 생활 편의시설, 개인 생활과 관련한 점자 사용 환경의 필요성과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알아본 결과 모든 환경에서 점자 필요성은 높게 나타난 데 비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국립국어원

가정용품, 대중교통 시설, 지역사회 기관, 생활 편의시설, 개인 생활과 관련한 점자 사용 환경의 필요성과 만족도를 5점 척도로 알아본 결과 모든 환경에서 점자 필요성은 높게 나타난 데 비해 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정용품과 지역사회 기관 분야에서 필요성 대비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 그중에서도 의약품과 음식점은 필요성이 4.6인데 비해 만족도는 1.4에 불과해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점자 필요성 대비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분야는 대중교통 시설이었고, 그중에서도 장애인 콜택시가 필요성 4.4에 만족도 2.8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 역시 절대적으로 높은 수치라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점자 사용 환경이 전반적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점자가 시각장애인의 삶에 필수적인 요건이라는 것을 나타냄과 동시에 여전히 많은 생활 영역에서 점자 사용 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 준다”면서 “앞으로도 정기적인 점자 사용 실태 조사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점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해 점자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0498)
0 Comments
제목